클로드 코드 토큰, 컨텍스트 윈도우 최적화 전략

요약

Claude Code의 토큰과 컨텍스트 윈도우를 효율적으로 최적화하는 4가지 전략을 소개하며, 200K 토큰 한계 내에서 효과적으로 개발하는 방법을 다룹니다.

주요 내용

1. MCP(Model Context Protocol) 툴 최적화

  • 기본 설정 시 MCP가 10% 이상의 토큰을 소모하는 문제
  • claude --mcp-config [파일명].json 명령어로 동적 로딩
  • 특정 용도별로 별도의 MCP 설정 파일 생성 방법
  • 프로젝트 용도에 따라 필요한 MCP만 선택적으로 로드하여 토큰 절약

2. CLAUDE.md 파일 활용 최적화

  • 코드 예제나 상세 내용 대신 간략한 인덱스와 아키텍처 정보만 포함
  • 프로젝트 구조, 필수 규칙, 기술 스택 정보 등 핵심 내용만 정리
  • 중첩된 폴더별로 별도의 CLAUDE.md 파일 생성하여 필요시에만 로드
  • AI에게 주기적으로 요약 요청하여 파일 크기 최적화

3. 시스템 프롬프트 활용 (Output Style)

  • 시스템 프롬프트가 가장 높은 우선순위를 가진다는 특성 활용
  • Output Style 기능으로 사용자 정의 시스템 프롬프트 설정
  • 반복적으로 사용하는 지시사항을 시스템 프롬프트에 포함하여 중복 제거
  • 프로젝트별, 작업 유형별로 다른 Output Style 설정 활용

4. Sub-Agent (서브 에이전트) 활용

  • 각 서브에이전트가 독립적인 20만 토큰 컨텍스트 윈도우 보유
  • 메인 에이전트는 오케스트레이션 역할, 실제 작업은 서브에이전트가 담당
  • 테스팅, 빌드, 린팅 등 독립적 작업에 적극 활용
  • 긴 작업 시 컨텍스트 윈도우 부족 문제 해결

핵심 인사이트

  • 200K 토큰은 약 7만 줄의 코드에 해당하며, 충분한 용량임을 인식
  • 컨텍스트 윈도우 최적화보다 작업을 작은 단위로 나누는 것이 본질
  • 각 최적화 기법을 상황에 맞게 조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효과적
  • 토큰 부족을 느낀다면 개발 방식 자체를 재검토해볼 필요

관련 자료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