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약
Claude Code의 토큰과 컨텍스트 윈도우를 효율적으로 최적화하는 4가지 전략을 소개하며, 200K 토큰 한계 내에서 효과적으로 개발하는 방법을 다룹니다.
주요 내용
1. MCP(Model Context Protocol) 툴 최적화
- 기본 설정 시 MCP가 10% 이상의 토큰을 소모하는 문제
claude --mcp-config [파일명].json
명령어로 동적 로딩- 특정 용도별로 별도의 MCP 설정 파일 생성 방법
- 프로젝트 용도에 따라 필요한 MCP만 선택적으로 로드하여 토큰 절약
2. CLAUDE.md 파일 활용 최적화
- 코드 예제나 상세 내용 대신 간략한 인덱스와 아키텍처 정보만 포함
- 프로젝트 구조, 필수 규칙, 기술 스택 정보 등 핵심 내용만 정리
- 중첩된 폴더별로 별도의 CLAUDE.md 파일 생성하여 필요시에만 로드
- AI에게 주기적으로 요약 요청하여 파일 크기 최적화
3. 시스템 프롬프트 활용 (Output Style)
- 시스템 프롬프트가 가장 높은 우선순위를 가진다는 특성 활용
- Output Style 기능으로 사용자 정의 시스템 프롬프트 설정
- 반복적으로 사용하는 지시사항을 시스템 프롬프트에 포함하여 중복 제거
- 프로젝트별, 작업 유형별로 다른 Output Style 설정 활용
4. Sub-Agent (서브 에이전트) 활용
- 각 서브에이전트가 독립적인 20만 토큰 컨텍스트 윈도우 보유
- 메인 에이전트는 오케스트레이션 역할, 실제 작업은 서브에이전트가 담당
- 테스팅, 빌드, 린팅 등 독립적 작업에 적극 활용
- 긴 작업 시 컨텍스트 윈도우 부족 문제 해결
핵심 인사이트
- 200K 토큰은 약 7만 줄의 코드에 해당하며, 충분한 용량임을 인식
- 컨텍스트 윈도우 최적화보다 작업을 작은 단위로 나누는 것이 본질
- 각 최적화 기법을 상황에 맞게 조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효과적
- 토큰 부족을 느낀다면 개발 방식 자체를 재검토해볼 필요
관련 자료
- 국내 최초 Claude Code 완벽 가이드북 출간
- 코드팩토리 통합 링크: https://links.codefactory.ai
- 바이브코딩 오픈톡방: https://open.kakao.com/o/gDUhYNDh
- 최신 AI 및 프로그래밍 메일링 리스트: https://page.stibee.com/subscriptions/437644